본문 바로가기
꿀팁, 혜택 정보

2023년 청년 적금 (청년 희망 적금, 청년 도약 계좌, 내용, 만기 수령액, 월 납입액,중복가입, 갈아타기 가능?)

by 진요때라삐 2022. 11. 13.
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3년 시행 예정인 

 

 

 

 

 

 

 

청년 도양 적금과 올해 시행되었던 청년 도약 적금에 대하여 비고 해서 알아볼게요.

 

우리나라 청년들에게 혜택을 줄수 있는 내용이니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올해 2월에 시행된

청년 희망 적금에 대하여 간단하게 알아볼까요?

 

 

 

 

 

2023년 청년 적금 (청년 희망 적금, 청년 도약 계좌, 내용, 만기 수령액, 월 납입액,중복가입, 갈아타기 가능?)

 

 

 

 

 

청년 희망 적금이란?

상품을 가입하고 2년 만기시 까지  계좌가 유지된다면 납입액의 10% 정도를 혜택으로 받을 수 있는 적금상품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2년 납입 기준으로 매월 50만원을 넣으면 실제 납입 금액은 1,300만 원이지만 

은행이자 5% 625.000원에 저축 장려금 36만원이 지원되어

약 100만원의 이자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었는데요.

해당 프로그램은 2022년 문재인 전 대통령이 시행하였던 정책으로 ,

청년 희망 적금
대상 연령 만 19~34세
(병역 이행 기간 제외)
소득기준 ①총 급여 3600만원 이하
종합 소득 2600만원 이하
만기 2년
월 납입액 50만원 이하
투자 수단 예금
혜택 ①은행 이자율
: 5% 우대금리 별도
②저축장려금 납입년도수에 따라 지급 
-1년차  : 납입액의 2%
-2년차 : 납입액의 4%
만기시 예상 금액 1300만원

2월에 시행 하였고 현재로서 추가 모집은 하지 않는다고 하네요.

 

그리하여 2023년 시행 예정인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 중 하나였던 '청년 도약 계좌'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요

 

 

 

내년 시행 예정인 청년 도약 적금은 어떤 내용인지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 청년 적금 (청년 희망 적금, 청년 도약 계좌, 내용, 만기 수령액, 월 납입액,중복가입, 갈아타기 가능?)

 

 

 

 

 

청년 도약 계좌란?

 

 

위의 적은 내용에서 알 수 있듯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 중 하나였으며 원래 해당 정책은 10년 만기로 1억 원을 목표로하는 공약이었지만

예산 문제로 지원금액과 만기가 줄어든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5년 납입 기준으로 매월 70만원을 넣으면 실제 납입 금액은 4,200만 원이지만

은행이자에 소득 구간에 따라 3%~6% 정부 보조금을 지원받으면 

약 5000만 원의 자산을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고 하는데요.

 

 

 

청년 도약 계좌
대상 연령 만 19~34세
(병역 이행 기간 제외)
소득기준 ①개인 소득 연 6천만원 이하 
②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만기 5년
월 납입액 40만원~70만원
투자 수단 예금, 주식, 채권 등
혜택 ①은행 이자율 : 최대 6%
②정부 보조금 소득에 따라 차등지원 
만기시 예상 금액 5000만원

 

 

대상 기준인 가구 중의 소득 180%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 중위 소득 180%
1인가구 3,740,206
2인가구 6,221,079
3인가구 7,982,669
4인가구 9,721,735
5인가구 11,395,238
5인가구 13,010,366

 

상품 설명을 살펴보면

가입자의 납입 금액에 비례하여 정부 기여금을 넣어주고 ,

이자소득을 비과세로 하는 상품이라는 는 점 다시 한번 확인해 주세요.

(현재 신청기간이나 방법에  대해서는 정해진 게 없고 알려진 내용도 변경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2023년 청년 적금 (청년 희망 적금, 청년 도약 계좌, 내용, 만기 수령액, 월 납입액,중복가입, 갈아타기 가능?)

 

 

 

 

 

 

청년 희망  적금 상품과 비교하여 보면 어떨까?

  • 가입대상이 되는 연령대는 비슷하지만 소득기준이 완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만기 기한도  청년 희망 적금은 2년, 청년 도약 계좌는 5년으로 납입기간이 늘어났습니다.
  • 또한 가입할 수 있는 금액 한도를 70만 원까지 늘어났습니다.
  • 기준이 되는 은행 금리가 최대 5%에서 6%로 올라갔습니다.
  청년 희망 적금 청년 도약 계좌 
대상 만 19~34세 (병역 이행 기간 제외)
소득 기준 ①개인 소득 총 급여
3,600만원 이하 

(종합소득2,600만원 이하)
①개인 소득 연 6천만원 이하 
②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투자 수단 적금형 투자운용 형태 선택
(적금형 or 투자형)
월 납입액 최대 50만원  40만원 ~ 최대 70만원
혜택 (지원금) 1년차 2%
2년차 4%
소득 구간에 따라 
3.0%
3.7%
4,6%
6.0%
만기시 예상 금액 만기시 지급 월 지급
만기 2년 5년
비과세  비과세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존에 시행 중인 

 

청년 희망 적금과 시행 예정인 청년 도약 계좌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2023 청년 도약 계좌는 무려 5년간 진행 될 중장기 사업인데다가

가입자는 300만명이상으로 추정, 예산 투입 규모는 5년간 3~4조원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대형 프로젝트인만큼

꼼꼼하게 계획을 잘 짜서 시행 되기를 바랍니다.

 

 

 

추가적으로 기존청년 희망 적금 가입자의 중복 가입이나 갈아타기 가능 여부는 

현재 미정이라고 하니 가입하기 전에 다시 한번 확인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023년 청년 적금 (청년 희망 적금, 청년 도약 계좌, 내용, 만기 수령액, 월 납입액,중복가입, 갈아타기 가능?)

 

 

 

 

 

 

 

 

학자금대출 신용 회복(신용 유의자 해제) 지원 사업 [지원 대상, 방법, 선정 기준, 접수 기간]

서울시에서 서울특별시 청년 기본조례에 따라 학자금 대출로 인해신용유의자가 된 서울 거주 청년들을 대상으로 학자금 대출 신용회복(신용유의자해제) 지원사업 참여자를 모집하고 있다고 하

bblog.jiiinyo.com

 

2차 서울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 사업 [대상, 기간, 지원 금액, 신청 방법, 지급 시기]

서울시에서 청년들에게 대중교통비를 지원하여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청년들의 경제적 부담 완화와 이동권 보장을 위해 교통비지원사업을 진행 중이라고 하는데요~! 어느새 2차 신청을 진행 중

bblog.jiiinyo.com

 

서울 영테크 (서울 영테크)청년 재테크 컨설팅 지원[지원내용,신청대상,접수기간,신청방법]

오늘은 서울시에서 지원하는 재무상담에 대하여 알아볼게요! 서울시에서는 청년들의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재테크 교육 및 맞춤형 상담을 제공하여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bblog.jiiinyo.com

 

 

 

 

 

 

반응형

댓글